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예산브리핑] 여전히 믿음 안가는 국가채무 통계기준 개편

예산생각/예산기사 짚어보기

by betulo 2010. 2. 11. 18:11

본문

728x90

2월 11일자 예산기사의 핵심은 국가채무 통계 방식기준 개편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 국민, 중앙 등이 이 문제를 보도했다. 한겨레는 취재 열심히 한 티를 냈다. <공기업 빠진 반쪽 개편 논란>을 통해 부채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공기업이 새로운 기준에서도 빠진다는 점을 꼬집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예전에 쓴 글들을 소개한다.
2009/10/15 - [예산생각] - 내년부터 전면도입하는 발생주의,복식부기 회계제도
2009/11/19 - [예산생각] - 이용섭 의원, "분식예산, 예산세탁 만연"
2009/11/18 - [예산생각] - 이한구 의원 "재정민주주의가 위기에 빠졌다"
2009/02/22 - 국가채무는 300조원, 정부부채는 688조원 [090219~21 예산브리핑]
2008/12/03 - [예산생각] - "선언적 규정"이라며 법 안지키는 기획재정부
2010/02/10 - [예산브리핑] 유럽재정적자 논의가 국내를 돌아보게 하다
2009/11/05 - [예산자료실] - 2008년도 자치단체 재무보고서 분석자료
2008/10/23 - [수업시간/성과관리(08-2)] - "성과없이 예산없다"는 위험한 발상



경향신문은 한면을 털어 <재정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란 기획기사를 실었다. 한국 재정건전성이 양호한 건 복지비 지출이 적기 때문이고, 세출 늘리기보다 세입을 늘릴 고민을 하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국가채무와 정부부채를 둘러싸고 대부분 언론에서 아주 아주 중구난방으로 전개되고 있는 논란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정리해주는 기사를 썼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