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황빠’ 뿌리는 과학기술만능주의”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by betulo 2007. 3. 30. 12:57

본문

728x90

김환석 교수 한국사회포럼서 주장…논란 일듯
“반미/친미, 반노/친노 등 이질적인 집단”
2006/3/23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지지자들은 친미/반미, 친노/반노, 반서울대, 불교 등 매우 이질적인 배경과 동기를 갖고 있으며 ‘황빠’ 현상의 근본원인인 과학기술만능 이데올로기가 자리잡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환석 시민과학센터 소장(국민대 사회학과 교수)은 한국사회포럼의 한 행사로 24일 열리는 ‘한국 사회의 비이성적 집단주의, 사회운동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토론회에 사전배포한 발제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황우석 사태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존 사회적 합의에 마침내 완전한 파산선고를 내린 혁명적 사건”이라며 “이제 과학기술사회에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정치적 견해와 실천의 차이, 즉 ‘과학기술의 정치’가 전개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국사회포럼은 23일부터 25일까지 열린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를 지지하는 단체는 2003년 12월 난자기증모임(난기모)이 결성되면서 시작됏다. 지금까지 전국에 카페 수십개가 생겼는데 ‘아이러브 황우석(알럽황, 회원 11만여명)’ ‘황우석을 지지하는 네티즌 연대(황지연, 회원 2만여명)’ 등 15개가 대표적이다. 황우석 사태가 본격적으로 터진 2005년 11월 이전에 생긴 4개를 빼면 그 이후에 11개가 나타났다. 황우석 사태가 황우석 지지단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원인인 셈이다.

김 교수는 황우석 지지자들을 △반미+친노 △반미+반노 △친미+반노 △반 서울대·경기고 △반기독교 등 다섯가지로 분류했다. 이는 “황우석을 지지하는 데 앞장서 왔던 인터넷 매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황우석 지지대중에게도 해당된다.

김 교수에 따르면 우선 반미+친노 성향은 미국이 꾸미는 줄기세포기술을 지배 음모가 ‘황우석 죽이기’의 핵심이라고 보며 노무현 정부는 이에 책임이 없거나 황우석을 도와주는 우군으로 간주한다. 서프라이즈나 딴지일보가 여기에 가깝다. 자주민보 등 반미+반노 성향은 미국이 ‘황우석 죽이기’의 주범이지만 노무현 정부도 이에 종속된 정권이기 때문에 결국 공범이라고 본다.

친미+반노 성향은 미국은 이번 사태와 무관하거나 오히려 황우석팀과 협력하는 존재로 주장하고 황우석의 연구를 정권의 친북적 목적에 이용하려 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에 있다고 본다. 인터넷 독립신문이 이에 가깝다.

반서울대·경기고는 서울의대 카르텔(대표 문신용)이 음모를 꾸몄고 경기고·서울대 인맥이 이를 뒷받침하는 세력이라고 간주한다. e-조은뉴스와 ‘정치웹진 판’이 이에 가까운 입장이다. 반기독교성향은 법보신문이 대표적이며 가톨릭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세력이 황우석 죽이기를 주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김 교수는 “이질성이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황우석 지지대중 사이에는 마치 아무런 견해 차이나 갈등이 없는 것처럼 눈먼 애국주의와 개인숭배가 황우석 지지자들의 판단을 마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어떻게 이런 상황이 가능할까. 김 교수는 “이질성을 가로질러 이 모든 집단이 공유하는 뿌리깊은 이데올로기가 있다”며 “그것은 바로 과학기술 발전이야말로 최고의 애국이고 정당한 수단은 무시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과학기술만능 이데올로기”라고 규정했다.

과학정책, 민족주의냐 민주주의냐

황우석 사태가 한국의 정치와 사회운동에 던지는 화두는 무엇인가. 김 교수는 주저없이 “그동안 한국의 제도정치권은 물론이고 민주화운동과 진보세력이 광범위하게 받아들였던 전통적 과학기술관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라고 단언한다.

“과학기술은 이제 미래의 발전을 지속하는 데 핵심적인 의제로 부상했으며 더 이상 과학기술자나 과학기술이 몰정치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정치가 전개되는 것이다. 이는 사실상 한국 정치와 사회운동의 핵심을 이루는 주요 과제이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이미 과학기술사회가 된 한국사회에서 진보운동권도 누구와 무엇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에 찬성하는지를 시민대중에게 제시하지 않고는 진정한 사회운동으로 존립하기 어렵게 됐다”고 주장한다. "두가지 선택지"가 있다.

"민족주의적 과학정책과 민주주의적 과학정책"이 그것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황우석에 열광하는 애국주의 과학은 민족주의 과학정책 모델과 부합한다. 민족주의적 과학정책이 선진국을 목표로 삼고 발전중심전략을 지칭한다면 민주주의적 과학정책은 “환경친화적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삼고 균형적 과학발전을 추구하며 시민참여를 허용하는 열린 과학공동체를 지향”한다.

논쟁과 갈등은 피할 수 없다. 그리고 그것이 한국사회의 미래를 위해 바람직하다. 김 교수는 과학기술정책을 둘러싼 더 많은 사회적 논쟁을 주문한다.

2006년 3월 23일 오후 18시 53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