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국내외 시민사회 연결고리 구실 다짐 (2004.11.12)

by betulo 2007. 3. 18.
728x90
국내외 시민사회 연결고리 구실 다짐
제1회 재외동포 NGO활동가 대회 열려
연대·민주화·참정권 중요성 재확인
2004/11/12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재외동포 NGO들이 한국 시민사회와 외국 시민사회를 연결하는 가교 구실을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시민사회가 재외동포 NGO와 적극적으로 연대를 모색해야 합니다."

 

지난 10일부터 서울과 경기도 청평에서 열리고 있는 제1회 재외동포NGO활동가대회에 참여한 국내외 NGO활동가들은 이번 대회를 계기로 한국시민사회와 재외동포NGO간 연대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한국을 찾은 많은 재외동포 NGO들은 특히 부시 재집권으로 한반도평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재외동포NGO들이 국제사회와 한국 사이에서 가교 구실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건강한 한인사회가 재외동포NGO 활동의 기본 바탕이라는 점에서 ‘한인사회 민주화’에 대한 고민도 적지 않았다. 특히 “고질적인 한인사회 분열과 반목에 가장 큰 책임은 한국정부와 재외공관에 있다”는 비판과 함께 “재외공관이 이제는 한인사회 민주화를 지원하는 구실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많은 참가자들은 재외국민 참정권 회복이 한인사회 민주화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대만이 살 길”

 

최영숙 한독문화협회 회장은 “차세대 재외동포NGO 활동가들은 한국 활동가들이 모르는 해외지식을 많이 갖고 있다”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모르는 것을 많이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누가 누구에게 베풀고 받는 관계가 아니라 동등한 파트너로서 함께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재외동포 NGO들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운동에 대해 해외에서 큰 힘을 실어줄 수 있으며 해외단체들과 국내단체의 가교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 재외동포문제 전문가도 “과거 재외동포들은 한국에 돈과 생필품을 줬다. 이제는 ‘고급정보’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공헌이 될 것이다.”

 

미국에서 온 한 NGO활동가는 한국정부가 한반도평화를 위해 재외동포 NGO에 주목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진정으로 한반도 평화를 원한다면 재외동포 NGO에게 호소하고 민족미래를 같이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2백만 한인들이 움직인다면 미국 정책도 바꿀 수 있고 7백만 재외동포가 움직인다면 세계를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외교라인에 의존하려고만 하지 말고 재외동포 NGO단체들과 적극적으로 연대하라”고 주장했다.

 

한인사회 민주화, 정부책임 크다

 

재외동포NGO들은 분열과 반목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한인사회 민주화를 강조했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로 재외동포 NGO들이 지목한 것이 재외공관 변화였다. 재외공관이 재외동포 NGO와 한인사회를 분열시키고 한인사회를 반목하게 한다는 것이다.

 

김동찬 미국 한인유권자센터 사무국장은 “한인사회를 이 지경으로 만든 건 바로 한국정부”라며 “한국정부가 나서서 바로잡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재외공관에 파견된 안기부 직원들이 한인단체를 이간질하고 흑색선전을 벌이고 반공반북 공포분위기를 조장했다”며 “그런 분위기에 젖어 있는 한인1세대들은 한국 사회 자체를 불신하는 경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재외동포 NGO활동가는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한인사회 불신 조장한 외교부 직원은 승승장구하고 그나마 시대변화를 인정해 개혁적 한인단체들을 방어해줬던 국정원의 양심적인 간부는 찬밥신세가 됐다”며 “고속승진한 외교부 직원은 청와대 핵심관계자와 대학 동창이라고 들었다”고 말해 한국정부에 대한 불신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한 일본 활동가는 “요즘은 안그러지만 몇 년전만 해도 국정원에서 조총련계 재일동포 사찰을 했다”며 “한국정부는 민단에 매년 80억원을 주지만 여타 단체에 대해서는 관심도 안갖는다”고 꼬집었다. 그는 “일본과 독일에서 한국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사람들이 간첩, 빨갱이로 매도되는 상황에서 건강한 한인사회는 언감생심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독일 한인사회는 독일로 건너갈 당시 의식을 지금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며 “지금도 조금만 개혁적인 활동을 하려 해도 빨갱이 소리를 곧잘 듣는다”고 털어놨다. 그는 “6년쯤 전에는 한인회 간부가 풍물패 ‘천둥소리’ 회원으로 활동하는 아이를 둔 학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회장만 바꾸면 지원해주겠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귀띔하기도 했다.

 

그는 한인사회에 대해서도 “재외공관은 동포를 위해 있는 곳임에도 한인사회는 재외공관에 독립적이지 못하고 눈치를 본다”며 “과거 재외공관의 구태의연한 관행에 너무 익숙해 있다”고 비판했다.

 

재외공관의 권위적인 태도도 도마에 올랐다. 독일지역 한인2세들로 이루어진 풍물패 ‘천둥소리’가 한국문화원 행사에 초청받은 적이 있다. 천둥소리는 독일에서도 유명세가 있는 풍물패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천둥소리 단원들은 공연 시작 전에 난데없이 두시간 동안 격론을 벌였다. 문화원에서 당연하다는 듯이 공연료를 주지 않겠다고 하자 공연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이었다. 당시 문화원장은 “천둥소리가 콧대가 높다”며 싫은 내색을 했지만 정작 천둥소리 단원들은 한국 재외공관에 대해, 나아가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재외국민 참정권 절실

 

김정호 재영한인시민연대 사무국장은 “한인사회 투명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 뒤 “재외국민에게 참정권을 주면 언론에서도 재외 한인사회에 관심을 갖게 되고 한인사회 투명화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참정권 문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김동찬 미주한인유권자센터 사무국장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서 뿌리내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자칫 자기 지역은 관심 안 갖고 한국에서 정치하려는 사람만 많아질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일본은 또 특별한 경우다. 수십만에 이르는 재일조선인은 국제법상 무국적자이기 때문에 “일본 지방정부 참정권조차 그림의 떡”이다.

 

이와 관련 재외동포 활동가대회에 참가한 허진 외교통상부 재외국민이주과 과장은 “정부 차원에서 재외국민 참정권을 회복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정부방침을 소개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4년 11월 12일 오전 6시 2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