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온천장 폐쇄 특혜의혹 문경시장 구설 (2004.11.12)

by betulo 2007. 3. 18.
728x90
온천장 폐쇄 특혜의혹 문경시장 구설
시민단체 공대위 구성 대응방침
2004/11/12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경북 문경시가 시 직영 문경온천을 폐쇄하고 시립치매요양병원을 건립하려는 것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들이 특혜의혹을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문경시 시민단체들은 지난 7일 ‘문경온천살리기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문경온천 폐쇄계획 철회 △시립치매병원 부지 이전 설립 △시민여론수렴과 시정 참여 등을 요구하며 범시민운동을 벌일 기세다.

 

시민단체가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장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 문경시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문경시가 시립치매병원 터로 발표한 문경온천장 바로 길 건너편에는 박인원 문경시장 소유의 종합온천장이 있다. 지역시민단체들은 “문경온천을 폐쇄하고 온천을 이용한 관광사업 운운하는 것은 문경시장이 소유한 민간온천만 육성하겠다는 발상이며 독점적 특혜를 주겠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문경시가 시립치매병원 예정지를 갑자기 바꾼 것은 의심을 증폭시키는 대목이다. 문경시는 애초 문경읍 평천리에 있는 시유지에 시립치매요양병원을 설립하기로 하고 지난해 3월 보건복지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올해 5월 사업비 전액을 지원받기로 했다. 그런데 문경시는 6월 갑자기 시립치매병원 터를 시 직영 문경온천장으로 변경해 버렸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문경온천의 적자폭이 크기 때문에 문경온천을 폐쇄해야 한다”는 문경시의 주장에 대해서도 “문경온천은 지난 96년 개장한 이후 지난해까지 까지 흑자였다”며 “적자가 생겼다는 것은 일률적인 감가상각비 공제에 따른 눈속임”이라는 입장이다.

 

자치단체 수익사업의 성공모델이던 문경온천은 지난 2001년 길 건너편에 종합온천이 들어서면서 매출액이 급격히 떨어졌다. 현재 문경온천은 문경시 산하 관리사무소가 있지만 창문은 너덜거리고, 우산대도 부서진 게 태반이며 지난 여름에는 에어컨도 틀지 않을 정도로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경시의 독선적인 행정이 지역 시민단체의 불신을 사면서 문제해결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박인원 문경시장은 문경온천 폐쇄와 관련해 지난 9월 지역 시민단체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문경시장은 ‘문경온천살리기 추진위원회’와 ‘문경포럼’에 “원매자가 있으면 시 온천장을 매각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문경온천살리기 추진위가 계약금까지 지참한 원매자를 대동하고 시장실을 방문하자 시장은 면담요청을 일방적으로 거절했다.

 

10월4일자 <경북매일신문>에 따르면 시민단체 대표들이 계속해서 면담을 요구하자 박 시장은 모습을 드러내 “문경온천을 뭣 때문에 살리느냐” “온천지구 민자유치 1호인 자신의 민간온천과 또 다른 민간 온천장이 경쟁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말했다.

 

문경온천 폐쇄계획을 세워놓고도 박 시장 소유의 종합온천을 광고한 것을 두고도 혈세낭비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지역언론 보도에 따르면 문경시는 지난해 11월 1천7백여만원을 들여 진남교반 휴게소에, 12월에는 천8백만원을 들여 문경새재 입구에, 지난 4월에는 1억4천여만원을 들여 마성면 소야교에 대형홍보판을 만들었다. 심지어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안에도 8천여만원이 들여 광고를 하고 있다.

 

홍창식 문경온천 살리기 공동대책위원회 대표는 두 가지의 온천을 즐길 수 있다는 광고 문구에 대해 “시 직영 온천은 탄산수 한 가지 뿐이지만 사설온천에는 탄산수와 알칼리수 두 가지가 나온다”며 “문경시 홍보문안은 누가 봐도 사설온천 홍보판”이라고 꼬집었다.

 

지역 시민단체가 제기하는 특혜의혹과 관련 문경시는 “시욕장과 종합온천장의 경쟁으로 우리 시민들에게 무슨 유익이 있겠느냐”며 “특정인이 운영하는 온천장에 특혜를 주기 때문에 온천시욕장을 그대로 유지하자는 감성적인 논리는 재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경시는 이어 “온천장이 누구의 것이라는 감정적인 논리에 얽매여 판단을 그르치지는 않는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4년 11월 12일 오전 6시 18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