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2004.9.12)

by betulo 2007. 3. 14.
728x90
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시민단체지원금 논란은 수구세력 공세…친노성향 우려
전국시민사회 210명 설문
2004/9/12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이 제기한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대다수가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론보도가 앞으로 시민운동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활동가도 절반 이상이었다. 또 시민운동가 대다수는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고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이 앞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시민의신문>이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2백1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최근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56.7%인 1백19명이 ‘언론개혁과 과거사청산 등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라고 답했다. ‘친정부 성향 시민단체에 대한 문제제기’는 11%(23명), ‘정부의 시민단체 관변화 시도에 대한 지적’은 16.2%(34명)에 그쳤다. 10.5%(22명)는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시민단체가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고 답한 사람이 59.6%(125명)였으며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33.4%(73명)로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이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설문에 응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 일부언론 보도가 시민운동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44.3%(93명)가 “조금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으며 “크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사람도 8.1%(17명)를 차지했다. 반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사람은 34.3%(72명)였다.

 

흥미로운 점은 시민운동내 친정부(친노)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는 점이다. 친정부 성향 시민운동을 우려하는 일부 목소리에 대한 견해를 묻자 “크게 우려” 9.5%(20명), “조금 우려” 42.9%(90명)로 나타나 우려한다는 답변이 52.4%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 “근거없는 것으로 무시한다”는 응답은 36.7%(77명)이었다. 이는 “일부 시민운동이 친정부 성향을 갖고 있다”는 시민사회 일각의 문제제기에 대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에 대해서는 59%(124명)가 “견제와 협조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11.4%(24명)는 가까운 편이라고 답했으며 비판적 관계라는 응답은 19%(40명)였다.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설정 방향에 대해서는 73.8%(155명)가 “비판적 협력관계”로 가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협조관계로 가야한다는 응답은 6.2%(13명)였으며 견제관계라고 답한 사람은 17.6%(37명)를 차지했다.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는 63.8%(134명)가 확대를 바랐다. 대폭확대라고 답한 16.2%(34명)까지 더하면 응답자의 80%가 거버넌스․민관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현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대답은 10.5%(22명),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은 3.8%(8명)에 불과했다.

 

한편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이 언론탄압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는 3.3%(7명), “그렇다”는 15.7%(33명)인 반면 “아니다”는 27.1%(57명), “전혀 아니다”는 44.8%(94명)에 달했다.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을 언론탄압으로 생각하지 않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는 71.9%에 이르렀다.

 

이번 설문은 서울․경기 71명(33.8%), 영남 42명(20%), 호남 40명(19%), 충청 31명(14.8%), 강원 19명(9%), 제주 7명(3.3%)을 대상으로 했다. 연령별로는 20대 53명(25.2%), 30대 1백4명(49.5%), 40대 41명(19.5%), 50대 이상 12명(5.7%)였으며 응답자 가운데 남성은 1백3명(49%), 여성은 1백7명(51%)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4년 9월 12일 오전 7시 47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