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1/09 - '무늬만 버핏세' 첫술에 배부르랴
2010/10/07 - 부유세 신설운동 벌이는 빌 게이츠 아버지
2011/08/30 - 유럽에선 부자들이 나서서 부유세 신설 촉구, 한국은...
2011/05/08 - [예산생각] - 부자감세하더니...애완동물진료에 부가가치세 10% 부과
2010/12/16 - [예산생각] - 세금폭탄과 부자감세
2010/12/15 - [예산생각] - '부자감세' 담론의 구조와 역사, 정치성
2010/07/26 - 부자감세의 미래? 부시 정부가 남긴 유산을 보라
2009/09/24 - "서민증세 부자감세"와 "1인당 19만원 증가"
2009/04/08 - [예산생각/지방재정] - 경기침체와 부자감세, 지방재정에 빨간불
2009/03/24 - [예산생각] - 통계청 자료 잘 활용해 부자감세 격파한 경향 보도
2008/09/11 - [예산자료실] - 감세, 과연 모두에게 남는 장사인가 (진보신당.080910)
2008/12/09 - [예산생각] - 나라 망치기 실용주의, 감세와 삽질에 올인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아래 글이 도움이 될 듯 하다.
http://sovidence.tistory.com/452
존경하는 블로거 바이커님이 쓰신 글은 내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주옥같은 문장들 가운데 일부를 발췌해 소개한다.
복지국가는 부자에게 세금을 많은 것이 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세금을 많이 걷는다. GDP 대비 전체 사회지출이 많은 국가(즉, 복지국가)일수록, 총 소득 중 세율이 높다.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복지국가일수록 가카께서 한 때 고려하셨던 죄악세의 비율이 높다. 복지국가의 높은 세율은 상당 부분이 높은 간접세 때문이다.
가카께서 진심으로 재정적자가 걱정이고, 포퓰리즘에 맞설 용기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죄악세 인상, 부가세 인상을 실행하는 용단을 내려주기를 기대한다. 캐나다 멀루니의 케이스에서도 보듯, 부가세 인상은 정치적 자살의 지름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가카가 언제 그런 것 신경쓰셨나. 오직 국가의 안위만을 걱정하는 고결한 지도자 아니신가.
우리가 그토록 조롱하고 깔보는 군사독재정권 당시 최고소득세율이 55%에서 50%였다... 오히려 민주화 이후 소득세율은 갈수록 줄어들었다. 정치제도와 사회경제제도의 불일치가 부른 코미디라고 해야 하나....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1차 추가: 2012. 1.20. 15시 무렵
부자증세에 집중하면 전선을 단일화하는데 효과적일지는 모르지만 역풍 역시 만만치 않다는 걸 고려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지금도 부자들이 전체 소득세 절반이상 내지 않느냐는 반론이 적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좀 더 세련된 저항은 아래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래 기사들 잘 읽어보면 내용 하나 하나는 별다르게 틀린걸 찾을 수 없다. 사실관계는 맞다. 하지만 사실과 사실이 모여 구성하는 담론은 현실을 무척이나 다르게 보여준다. '증세'에 맞서 이들이 제시하는 프레임을 거칠게 표현하면 '부자들은 이미 세금 많이 내고 있다' '부자만 증세하라고 하는건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느냐'라고 하면서 이러저러한 대안을 나름대로 제시한다.
이 대안이란 것도 참 오묘하다. 하나 하나 놓고 보면 다 맞는 대안이다. 하지만 소득세 최고세율 올리자는 주장에 대해 "그럴거면 있는 세금이라도 잘내자" 혹은 "차라리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없애자"라고 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이 주장에는 저걸 대안이라고 내놓고 저 주장에는 이걸 대안이라고 내놓으며 물타기 하는건 엄정하게 경계해야 한다고 본다.
당장 20일자 조선일보가 '그럼 부가가치세도 증세하자'고 어깃장을 놓는걸 어떻게 진압할 것인가 잘 고민하고 세밀한 전략을 짜야 하지 않겠는가 싶다.
기획재정부도 사실상 인정한 부자감세 폐해 (0) | 2012.01.29 |
---|---|
서울시 대중교통요금 인상논란 차분하게 들여다보기 (2) | 2012.01.26 |
주요 선거만 60여회, 세계 정치변동 태풍 몰려온다 (0) | 2012.01.11 |
유럽 재정건전성만으론 경기침체 못벗어난다 (0) | 2011.12.12 |
유럽연합 재정통합에 박차, 영국은 빼고 (0) | 201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