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이 있다. 춘추시대 제자백가 가운데 한 사람인 열자(列子)의 사상을 그의 문인들이 기술했다는 『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우화다. (『열자』라는 책 자체는 후세에 나온 위작이란 설이 많다.) 간략히 요약하면 이런 얘기다.
먼 옛날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玉山)은 사방이 700리, 높이가 만길로 본래 기주 남쪽 하양 북쪽에 있었다. 북산에 사는 우공(愚公)이라는 90세 노인은 두 산을 맞대고 살고 있었다. 두 산에 막혀 왕래할 때마다 멀리 돌아가는 고생을 해야 했다. 우공은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이렇게 물었다.
“나는 너희들이 저 두 산을 깎아 없애고, 예주(豫州)와 한수(漢水)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고 싶은데 너희들 생각은 어떠냐?”
모두 찬성했으나 그의 아내만은 무리라며 반대했다.
“아니, 늙은 당신의 힘으로 어떻게 저 큰 산을 깎아 없앤단 말예요? 또 파낸 흙은 어디다 버리고?”
모두들 “발해(渤海)에 갖다 버리면 된다.”고 했다.
이튿날 아침부터 우공은 세 아들과 손자들을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로 발해까지 갖다 버리기 시작했다. 한 번 갔다 돌아오는데 꼬박 1년이 걸렸다. 어느 날 지수라는 사람이 '죽을 날이 멀지 않은 노인이 정말 망녕'이라며 비웃자 우공은 태연히 말했다.
“내가 죽으면 아들이 하고, 아들은 또 손자를 낳고 손자는 또 아들을…‥. 이렇게 자자손손(子子孫孫) 계속하면 언젠가는 저 두 산이 평평해질 날이 오겠지.”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란 것은 두 산을 지키는 사신(蛇神)이었다. 산이 없어지면 큰일이라고 생각한 사신은 옥황상제(玉皇上帝)에게 호소했다. 우공의 끈기에 감동한 옥황상제는 역신(力神) 과아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각각 두 산을 업어 태행산은 삭동(朔東)에, 왕옥산은 옹남(雍南)에 옮겨 놓게 했다. 그래서 두 산이 있었던 기주(冀州)와 한수(漢水) 남쪽은 지금은 작은 언덕조차 없다. 1
지난주 토요일 북한산을 다녀왔다. 산 중턱에서 바위를 둘로 쪼개놓은 나무를 보았다. 조약돌로 하나씩 쌓아놓은 돌탑도 보았다. 다 우공이산 같은거 아니겠나 싶다.
겸사겸사 ‘나무를 심은 사람’이란 고전 애니메이션도 찾아봤다. 다행히 유튜브에 한국어 더빙판이 있다.
자연-인간 관계 시각과 해법에 따른 환경사상 구분 (0) | 2011.10.28 |
---|---|
서울시장 선거, 어쨌든 책임은 우리 몫이다 (2) | 2011.10.26 |
'발상을 전환하기'란 바로 이런 것이다 (2) | 2011.10.17 |
서울시장 선거, '저들' 욕은 그만, '우리' '희망'을 이야기하자 (0) | 2011.10.14 |
권위주의 정권인가 보수주의 정권인가 (2) | 201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