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문화원인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 카르멘 카파렐 원장에게 스페인 문화외교의 장점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녀는 대뜸 “독일이나 프랑스, 영국보다 우리가 훨씬 젊다.”고 답했다. 1991년 창립된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는 국가차원의 문화외교를 최일선에서 담당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후발주자답게 유럽 내 문화외교 강국들의 장점을 최대한 수렴하고 있는 스페인 모델은 한국으로서도 눈여겨봐야 할 대상이다. 카파렐 원장은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전공한 교수 출신으로, 2007년 7월 첫 여성 원장으로 취임했다.
문: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의 역사와 창립취지는.
1991년 창립된 공공기관이다. 카를로스 국왕이 명예원장이고 사파테로 총리와 외교부, 문화교육부 등이 협력해서 운영한다. 스페인어와 스페인 문화를 알리는 것이 주요 목표다. 중남미까지 포괄하는 문화외교를 벌이자는 것이 창립배경이다. 스페인어 보급과 함께 스페인-중남미 사이에 다리 구실을 하는 것도 중요한 임무다.
처음 조직을 만들 때는 독일의 괴테 인스티튜트 모델을 많이 참고했다. 하지만 굳이 범주를 나눈다면 스페인은 독일과 달리 정부주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가 원장을 지명하긴 하지만 원활한 임무 수행을 위해 원장 임기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한국은 해외문화원 임기가 3년이라고 하자) 업무를 이해하는 데만 1년은 걸리는데 3년은 지나치게 짧다. 스페인은 4~5년 임기를 보장한다.
문: 예산과 인력 규모 등 현황은.
답: 예산은 국가재정 지원과 자체 수입 등으로 구성된다. 자체 수입은 스페인어 수업과 ‘델레’라고 부르는 스페인어 시험 수수료, 스페인어 교사 양성과정 등을 통해 충당한다. 공기업과 사기업 등에서 후원금도 받는다. 현재 44개국에 78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스페인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에서부터 문화원을 확장해 왔다. 그래서 전체 문화원의 3분의2 이상이 유럽에 있다. 중남미에선 브라질에 상대적으로 많다. 브라질이 중남미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스페인어를 쓰지 않고 있는 데다, 스페인어 수요가 많다는 점 때문이다.
문: 스페인 문화외교에서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가 차지하는 위상은.
답: 스페인 공공외교의 ‘주연배우’라고 할 수 있다. 그 자체가 열려 있는 공간이고 문화적 대화를 위한 장(場)이다. 근대 이미지와 전통 이미지를 함께 제공하는 공간이다. 또 각지에서 스페인 기업들을 간접적으로 많이 도와준다. 국가 이미지 향상을 통해 기업활동에 굉장한 메리트를 주고 있다.
문: 재정악화가 문화외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지.
답: 우리도 걱정이다. 다행히 사파테로 총리는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를 높이 평가한다. 다른 정부 부처는 일괄해서 15%씩 예산이 삭감됐지만 세르반테스 인스티튜트는 0.6%만 줄었다. 기업과 민간기업으로 구성된 ‘세르반테스의 친구’ 협회에서 많이 후원해 준다.
'종횡사해 > 공공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외교] 유럽에서 느끼는 '일본은 있다' (2) | 2011.08.09 |
---|---|
해외 한국문화원과 일본문화원 비교해보니 (0) | 2011.08.09 |
[공공외교] 독일,프랑스,영국 3국3색 문화외교 진단 (2) | 2011.08.08 |
[공공외교] “한국학과 개설하려 해도 가르칠 교수가 없다" (1) | 2011.08.07 |
[공공외교] 해외 한국학 실태 분석 (0) | 2011.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