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금화조 알을 뻐꾸기와 같은 인공환경에서 24시간 추가로 부화시키자 뻐꾸기 새끼와 똑같은 단계로 발육했다.
체내에선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미 몸속에서 24시간은 몸 밖에서의 31시간과 같다. 뻐꾸기 새끼는 다른 새끼들보다 하루에서 이틀 정도 더 유리한 출발선에 서게 되는 셈이다.
연구팀은 “뻐꾸기 알이 다른 새의 알과 똑같거나 더 늦게 알을 깨고 나온다면 위탁모 새끼들을 제치고 경쟁에서 살아남을 확률은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런 발견을 영국왕립협회 생물학학술지에 발표했다.
영국군 '고문 교본' 만들어 교육해왔다 (0) | 2010.10.28 |
---|---|
미국 남성 8%, 여성 7%..."나는 동성애자" (0) | 2010.10.07 |
독도문제, '조용한 대응'이 '현명한 대응'이다 (3) | 2010.09.27 |
기술유출과 독점금지, IT기업이 이직을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 (0) | 2010.09.27 |
미국, 절구통이 돼 버린 다이아몬드 (0) | 201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