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차이는 각종 경기부양조치가 ‘좋은 일자리’로 연결되지 못하면서 저임금 단순서비스직 중심으로만 일자리가 늘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 지난 4일 “지난달 실업률은 9,6%로 집계됐지만 이는 구직활동을 포기해 경제활동인구에서 아예 제외됐거나 전업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시간제 근로자로 남아있는 사람들을 포괄하지 못한다.”면서 이들까지 포함할 경우 실업률은 16.7%나 된다고 보도했다. 이어 “지난달 공식 실업률과 실질 실업률이 크게 차이가 난 것은 시간제 노동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면서 “이는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 수준이 경기침체 이전보다 열악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꼬집었다.
이런 와중에 직원들을 대규모 해고시킨 CEO일수록 더 많은 급여를 챙겼다는 보고서를 미국 싱크탱크 정책연구소(IPS)가 지난 1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금융위기가 본격화한 2008년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50개 기업에서는 50만명이 넘는 직원을 구조조정했지만 해당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급여와 스톡옵션 등으로 지난해에만 평균 1198만달러(약 142억원)을 챙겼다는 것이다. 구조조정 상위 50개 기업 중 72%가 지난해 흑자를 기록한 것에서 보듯 혹독한 구조조정이 기업 이익을 늘리고 이는 다시 기업 경영자 연봉을 올리면서 사회양극화를 부추기는 셈이다.
"슈퍼박테리아는 전지구적 위협" (0) | 2010.09.16 |
---|---|
노키아 임원진 물갈이로 '명가재건' 노린다 (0) | 2010.09.15 |
유엔 기후변화정부간회의 고강도 개혁 필요 (0) | 2010.09.01 |
8년간 대통령 했던 푸틴, "6년 더..." (0) | 2010.08.31 |
이란제재에 외통수걸린 한국, 아랍에미리트를 본받아라 (0) |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