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선 세계사를 좌우하는 ‘유럽중심주의’라는 프레임에 정면으로 문제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듯한 결기가 느껴집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시작해 십자군전쟁, 자본주의 세계체제론, 산업혁명 등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중심주의가 아닌 ‘세계사들’을 보여줍니다. 한국의 서양사 학계 수준이 이만큼 성장했다는 것이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기쁠 뿐입니다.
세계사는 유럽과 중국만 있었던게 아니다. 세계에는 다양한 세계사가 존재한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이 말만 명심해도 세계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준비를 절반은 한 것이겠죠. (비슷한 맥락에서 <유목민이 본 세계사>란 책도 권합니다. 악몽같은 번역 빼고는 여러모로 재미있답니다.)
마음을 열고 일본을 배우고 연구하자 (1) | 2010.01.01 |
---|---|
몇 년 만에 처음으로 빠져든 소설 <지구영웅전설> (0) | 2010.01.01 |
그대 아직도 세계가 평등하다고 믿는가 (0) | 2009.12.31 |
올해 나는 77권, 2만 8015쪽을 읽었다 (0) | 2009.12.31 |
도쿄대 교수 강상중이 말하는 지도자의 일곱가지 조건 (2) | 200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