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시민운동가는 ‘차하위계층’ (2005.6.3)

by betulo 2007. 3. 24.
728x90
시민운동가는 ‘차하위계층’
[특별설문조사] 얇은 주머니 운동 지속가능성 흐려
본지, 시민운동가 201명 설문
2005/6/8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시민운동가지갑은 얇다. 월 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사람이 과반수다. 50만원도 못 받는 이도 7%나 된다. 저축을 한 푼도 못하는 이들이 29%에 이른다. 자기계발과 문화생활에 10만원을 못쓰는 이가 절반을 넘는다. 대부분 급여 외 부수입도 없다. 1/3이 5백만원 이상의 빚을 지고 산다. 그래서 거의 모두 시민사회단체 재정확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갈망하고 있다.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 삶’을 주제로 한 시민운동가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201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부터 나흘 동안 전화설문조사를 벌였다.

“월 급여 1백만원 미만”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의 삶'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월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시민운동가가 49.8%로 나타났다.
양계탁기자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의 삶'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월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시민운동가가 49.8%로 나타났다.

월평균 급여를 묻는 질문에 ‘50만원 이상 1백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49.8%(1백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했다. ‘1백만원 이상 1백5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31.4%(63명)이었으며 ‘1백50만원 이상 2백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7.5%였다. 특히 5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도 7%(14명)를 차지해 충격을 주었다. 2백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은 4.5%(9명)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85.6%(1백72명)에 달하는 시민운동가가 강사료·집필료·인세 등 단체 급여와 별도로 고정 수입이 없다고 답했다.  8.9%(18명)은 ‘월 1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월 1백만원 이상은 2.5%(5명) 뿐이었다. ‘월 50만원 이상 1백만원 미만’은 1.5%(3명), ‘월 10만원 미만’은 1.5%(3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56.7%가 가계부채가 없다고 답했으며 5백만원 미만이 9.5%, 5백~2천만원은 11.4%, 2천~5천만원은 15.9%, 5천만원 이상은 6.5%로 나타났다. 특히 기혼자들의 재정상황이 열악했다. 5천만원 이상 부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모두 기혼자였으며 전체 기혼자 가운데 26.2%는 부채가 2천~5천만원이었다.

“저축 전혀 못하죠”

열악하기만 한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돈을 저축과 자기계발비에 쓰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월평균 20~50만원을 저축한다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33.3%(67명)였으며 21.4%(43명)는 월평균 50~1백만원을 저축한다고 답했다. 1백만원 이상은 6.4%(13명),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은 5.5%(11명), ‘10만원 미만’은 4.5%(9명)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혀 없다고 답한 사람도 28.9%(58명)이나 됐다. 이는 시민운동이 ‘지속가능한 운동’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 달 평균 개인의 성찰과 성장을 위한 비용으로 얼마나 쓰느냐’는 질문에 대해 5~10만원이라고 답한 사람이 28.4%, 5만원 미만은 18.9%였다. 1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39.8%에 이르렀다. 반면 전혀 없다고 답한 사람도 12.9%에 이르렀다. 응답자 95%(1백91명)가 신용불량자가 아니라고 답했으며 신용불량자는 5%(10명)에 불과했다.

시민운동가들의 재정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 가운데 28.9%는 ‘회원 배가, 펀드레이징 등 단체경영기법을 혁신해 단체의 재정 수준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인건비 등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28.3%였다. 이밖에도 ‘시민운동가 공제회같은 자주적인 경제복리활동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17.9%에 이르렀다. 이밖에 ‘공공부문이나 기업 등에서 단체 활동가에게 유리한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응답은 10.5%(21명), ‘노동조합, 평간사협의회 등 활동가들의 단체 내부 매커니즘을 혁신해야 한다’는 답은 6.9%(14명), ‘스스로 선택한 일이므로 활동가 개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2.4%(5명)으로 뒤를 이었다.

4대보험 가입 72.6%

이번 조사에서는 시민운동가 일반의 통념과 달리 대다수 시민운동가들이 4대보험 혜택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시민운동가 가운데 72.6%(1백46명)는 4대보험에 가입돼 있으며 89%(1백79명)가 ‘대학원 진학 때 단체에서 학비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76.6%(1백54명)는 ‘노동조합 혹은 평간사협의회 같은 상근활동가의 의사를 대변하는 자율적 조직이 없다’고 대답했다.

기혼자는 53.2%(1백7명), 비혼자는 46.8%(94명)였으며 기혼자 가운데 자녀가 2명인 사람이 42.1%(45명), 1명은 24.2%(26명)였다. 3명 이상이라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7.2%(8명) 뿐이었으며 자녀가 없다고 답한 응답도 26.2%(28명)이나 됐다. 가족 형태로는 ‘독립’이 64.2%(1백29명)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슬하는 18.4%(37명), 부모 부양은 17.4%(35명)였다. 응답자 가운데 시민운동 경력이 5년차 이하인 사람이 79명이었으며 6~10년차 43명, 11~20년차 15명, 21년차 이상이 5명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서울 43명, 경기·인천 40명, 호남 35명, 영남 35명, 충청 25명, 강원 18명, 제주5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여성은 115명(57.2%), 남성은 86명(42.8%)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 66명(32.8%), 30대 93명(46.3%), 40대 31명(15.4%), 50대 이상 11명(5.5.%)이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2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3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4
 

2005년 6월 3일 오전 9시 2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시민의신문 제 600호 12면에 게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