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체 인구에서 강북, 노원, 도봉, 성북 등 동북4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7.5%이지만 일자리는 7.3%에 불과하다. 재정자립도는 25개 자치구 평균 62.8%에 불과한 반면 전체예산 대비 복지예산 비중은 평균보다 116.3%나 된다. 직장과 주거가 분리된 대표적인 베드타운이자 낙후지역으로 꼽히는 동북4구가 상호 협력을 통한 권역별 발전모델 수립을 위해 손을 맡잡았다.
박겸수 강북구청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이동진 도봉구청장, 김영배 성북구청장 등 동북4구 구청장들은 15일 시청에서 동북4구발전협의회 구성·운영 협약서를 체결했다. 중앙정부나 광역자치단체 지원을 더 따내기 위해 기초자치단체끼리 소모적인 경쟁을 벌이는 게 아니라 동북권 지역발전을 함께 도모하자며 협의체를 결성하기는 전국 최초다.
이들은 다음달에 1차 정기회의를 열어 협의회를 본격 가동하고 지역 자원조사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균형발전을 공약으로 제시했던 박원순 서울시장도 공동협력기구를 설치하기로 하는 등 지원을 다짐하고 나섰다.
동북4구는 이날 각 구에서 주도적으로 고민하는 정책을 공동발전을 위한 4대 의제로 제시했다. 김영배 구청장은 “마을만들기 협력사업과 협동조합·사회적경제활성화는 대안적 경제모델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나왔다.”면서 “북한산 역사·문화·관광벨트를 조성하고 역차별 논란이 거센 북한산 최고고도지구 완화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개발가능한 터를 활용한 문화창조산업 벨트 조성과 도시활력증진 모델 만들기를 통해 지역 활력을 높이고 혁신산업 클러스터 형성과 도시제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만들기도 야심차게 준비한다는 복안이다. 김성환 구청장은 “서울지역 종합대 37개 가운데 14개가 동북4구에 몰려있다.”면서 “그 점을 활용해 지역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립형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면 출퇴근 시간만 서너시간인 현실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북4구가 공동협의회를 구성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 지역이 동일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배경도 작용했다. 동북4구는 1973년 도봉구, 1988년 노원구, 1995년 강북구가 분리되기 전까지는 모두 성북구라는 단일 행정구역이었다. 1기 의장을 맡은 이 구청장은 “동북4구는 지하철 1·4호선으로 이어지는 서민적 지역정서를 공유한다. 사회경제적 토대가 평균을 밑돌고 시민사회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도 공통점”이라고 설명했다.
박 구청장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1월 공개 토론회를 통해 공감대를 확산시킨 끝에 지난 1일 협의회 구성과 운영계획을 수립했다.”면서 “최고의사결정은 구청장 4인이 협의해 결정하고 시민단체와 전문가도 참가하는 기획조정위원회가 전체적인 조정과 협의를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 구마다 실무위원회도 구성한다.
서울시 전기차 사업은 계륵? (0) | 2012.05.17 |
---|---|
박원순 시장 소신도 멈춰세운 보수개신교 호모포비아 (0) | 2012.05.16 |
체험으로 배우는 친환경, 노원에코센터 (0) | 2012.05.10 |
서울시 민관협력해 예산낭비 뿌리뽑기 나섰다 (0) | 2012.05.09 |
서울시 마을만들기, 토론과 속도조절이 필요하다 (0) | 201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