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니 무바라크 정부와 야권이 헌법개혁위원회 구성 등에 합의해 소요 사태 2주일 만에 대화 국면을 형성하면서 오마르 술레이만 부통령과 막후의 군부가 집중적인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뉴욕타임스가 6일(현지시간) “9월 선거 이후 누가 새 대통령이 되더라도 부유하고 비밀스러운 군부가 이집트 통치의 열쇠를 쥐게 될 것”이라고 보도한 데에서 보듯 ‘포스트 무바라크 시대’의 열쇠는 결국 술레이만과 군부가 쥐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집트 정치 개혁 논의의 ‘주연’이 술레이만이라면, 군부는 이를 연출하는 ‘총감독’으로 자리매김해 가는 형국이다.
현대 이집트 권력의 원천
사실 이집트의 현대정치는 군부를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1953년 ‘자유장교단’ 쿠데타로 왕정을 무너뜨린 뒤 초대 대통령이 된 무하마드 나기브부터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사다트는 물론이고 무바라크 현 대통령까지 역대 모든 최고 권력자가 군부를 기반으로 권력을 잡았다.
이집트 군부는 무바라크 대통령이 30년이나 장기 집권할 수 있는 원동력이 돼 왔다. 상대적인 청렴성과 우수한 인재들로 구성된 덕에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대조차 군대와 별다른 충돌이 없을 정도로 국민들의 신뢰까지 얻고 있다.
이스라엘을 빼고는 중동과 아프리카를 통틀어 최강 전력이자 세계 10위 군사력을 자랑하는 이집트군은 약 47만명에 이르는 현역에 예비군도 48만명이나 된다. 고졸자까지는 3년, 대학생 이상은 1년간 의무복무를 해야 하는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다. 단 기독교의 한 분파인 콥트교 신자는 병역을 면제한다.
군부는 막강한 경제력도 갖고 있다. 국방예산도 2009년도 기준 58억 5000만 달러로 국내총생산(GDP) 1891억 달러의 3%나 된다. 군부는 무기뿐 아니라 도로와 주택건설, 소비재, 리조트 경영 등 사업에도 관여한다. 대통령에게만 보고할 뿐 구체적인 국방예산 내역 등 대다수 군 관련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 등 상당한 독립성과 특권을 누리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6일 “최근 군 장교들의 임금이 사기업 직원들에 비해 떨어지면서 군의 인기가 시들해지긴 했지만 이집트군은 전자제품이나 의류, 심지어 식품 생산에도 직접 개입하고 있다.”며 막강한 군부의 부와 영향력을 전하기도 했다.
미국·이스라엘과 밀월 관계 유지
이집트군이 국민들에게 인정받는 배경 중 하나로 이스라엘과 벌였던 전쟁을 빼놓을 수 없다. 1948년 제1차 중동전쟁에서 겪은 치욕적인 패배가 쿠데타로 이어졌고 1973년 제4차 중동전쟁 승리는 아랍권의 자존심을 세우며 위상을 높였다. 특히 당시 공군을 이끌었던 무바라크가 이 전쟁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부상하면서 이후 대통령에 오르는 배경이 됐다.
이집트군은 1979년 사다트 전 대통령이 미국에서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체결한 뒤 미국으로부터 해마다 막대한 군사 지원을 받고 있다. 2009년 지원액도 13억 달러에 이른다. 덕분에 미국제 F16은 이집트 공군의 주력 전투기가 됐고, 미국제 M1A1 에이브럼스 탱크는 이집트 육군을 이스라엘에 이어 중동에서 두 번째로 많은 차세대 전차를 보유한 군대로 만들었다. 이스라엘과 전쟁을 거치며 성장한 이집트 군부가 1979년 이후로는 미국·이스라엘과의 밀월 관계를 통해 기득권을 유지해 온 셈이다.
세계 시선 집중되는 군부 주요 인사
이집트 정세가 요동치면서 군부를 움직이는 핵심 인사들의 면면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인사는 술레이만 부통령이다. 육군 중장 출신으로 무바라크 대통령의 오른팔인 그는 1993년부터 2011년까지 정보국장으로 재직했다.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군에 투신한 술레이만 부통령은 옛 소련 군사학교에 유학하는 등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그는 1995년 무바라크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할 당시 그의 목숨을 구한 것을 계기로 절대적인 신임을 얻게 됐다. 하지만 그는 정보국장으로 재직할 당시 각종 불법구금과 고문 등에 연루돼 있다. 최근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미국 국무부 외교전문에 따르면 미국 외교관들은 그를 ‘무자비하지만 정직하고 믿을 만한 파트너’라고 평가했다.
서정민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술레이만 부통령을 “가장 유력한 차기 대통령”으로 꼽았다. 서 교수에 따르면 오랫동안 이집트 대외관계를 비롯한 전반적인 정보를 장악하고 있는 술레이만 부통령은 어떤 면에서는 민주화시위 이전부터 무바라크보다도 더한 실권자라고 할 수 있다.
정보국장으로서 대외활동을 활발히 한 덕분에 미국과 이스라엘의 신뢰를 받고 있다. 서 교수는 “이집트 기득권층이 가장 지지하는 차기 대통령 역시 술레이만”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술래이만 부통령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한다. 바로 현행 헌법상 주요 정당의 간부직을 최소 1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데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이다. 결국 그가 대통령이 되려면 개헌밖에 방법이 없다.
술레이만 부통령의 잠재적인 경쟁자로 꼽히는 무하메드 탄타위 국방장관은 군 안팎에서 전쟁 영웅으로 명성이 높다. 군 원수 출신이며 전형적인 야전 군인이다. 1956년 이스라엘과의 수에즈 전쟁에서부터 1991년 미국의 이라크전 때까지 중동에서 벌어진 전투에 빠짐 없이 참전했다.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카이로 주재 미국 대사관 외교전문에 따르면 일부 군 장교들은 탄타위 국방장관을 ‘무능력한 무바라크의 딸랑이’로 묘사했다.
해외에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사미 에난 참모총장도 주목해야 할 인물로 꼽힌다. 그는 미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부정부패에 연루되지 않은 깨끗한 이미지로 국민의 신임을 받고 있다. 사실상 최대 야당인 무슬림형제단도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정도다.
카다피, 젊은 혁명영웅에서 학살원흉으로 (1) | 2011.02.21 |
---|---|
트위터로 이란 염장 지르는 미국 (0) | 2011.02.18 |
이집트 시민항쟁, 미국은 우왕좌왕? (0) | 2011.02.06 |
이집트 민주항쟁과 미국의 이중생활 (0) | 2011.02.06 |
이란혁명으로 축출된 팔레비 왕가, 끝나지 않은 비극 (4) | 201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