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구의 95%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부 정책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시골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핀란드 정부에 따르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 가격은 ‘합리적’이어야 하지만 서비스 업체들은 생산 원가를 고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수비 린덴 통신부 장관은 이와 관련, “인터넷은 이제 은행 서비스나 상수도 시설 또는 전기처럼 생활필수품이 됐다.”면서 “정부가 내놓은 가장 가치있는 성과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또 “26개에 달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의무적으로 모든 가정과 사무실에 초당 최소 1메가비트(Mb) 속도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핀란드 전체 가구 중 99%는 이미 정부가 정한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통신규제청 측은 설명했다.
CNN방송은 핀란드의 정책을 다루면서 “선진 산업국가 가운데 초고속인터넷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이 없는 나라는 미국뿐”이라는 통신노조 보고서를 인용, 미국의 현실을 비판했다. 이어 시골에 사는 가구 가운데 46%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친미(親美) 아버지 살해한 반미(反美) 아들 (0) | 2010.07.26 |
---|---|
130세 세계 최고령 할머니 생일상 (0) | 2010.07.09 |
미국 전자책은 가격인하경쟁, 한국은... (0) | 2010.06.25 |
남아공월드컵경기장 경비원들, 장시간 저임금에 비명 (0) | 2010.06.22 |
터키 퇴짜 놓던 유럽, 이젠 떠나는 터키를 아쉬워한다 (2) | 201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