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공무원들 이야기

‘국가권력 정통성의 상징’ 국새, 잘 알려지지 않은 5가지 사실

by betulo 2021. 12. 16.
728x90

 예로부터 국새는 국가 권력의 정통성을 상징한다. 고려 말기 이성계는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 새겨진 국새를 받고 나서 다음날 즉위식을 열었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는 모두 다섯 번 국새를 제작했다. 국새 변천사를 살펴보면 전쟁의 상처와 압축성장을 비롯해 기록관리와 행정제도의 발달이라는 대한민국의 굴곡진 현대사를 느낄 수 있다.

 ●국새는 청와대에 있다?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19층 국무회의실 출입문 한쪽에는 커다란 잠금장치로 닫아 놓은 문이 하나 있다. 커다란 잠금장치를 열고 안으로 들어가면 3평 남짓한 작은 방이 나온다. 정면에는 꽤나 유행에 뒤떨어져 보이는 ‘대한민국 국새’라는 글씨 밑으로 금고가 나타난다. 이곳이 바로 굴곡진 대한민국 현대사와 얽히고설킨 영욕을 함께한 ‘국가의 도장’인 국새를 보관하는 곳이다. 


 금고 안에서 보관함을 조심스레 꺼내면 봉황 두 마리가 무궁화 한 송이를 등에 얹은 모습을 한 국새가 드러난다. 한 손에 잡고 국새를 드는 순간 3.38㎏이나 되는 묵직한 무게감이 느껴졌다. 한 손으로 계속 들고 있기가 버거울 정도였다. 하루에 적게는 몇 십 장, 많게는 몇 백 장에 이르는 각종 임명장과 훈·포장을 숱하게 찍어내야 하기 때문에 붉게 바랜 탁자와 인주통이 국새실 한편을 채우고 있었다.


 보관실 출입문은 물론 금고까지 4중 보안장치가 돼 있다. 국새 보관실은 별도로 화재보험에 가입해 있고 소방시설과 도난대비용 안전장치도 별도로 갖췄다. 행안부 의정담당관이 보관실 열쇠를 보관하고, 반드시 담당자가 입회해야만 출입이 가능하다.


 국새 관리는 행정안전부 의정담당관실이 담당한다. 먼저 대통령령에 따른 ‘국새의 사용’ 요건에 맞게 국새 날인 요청이 들어오면 타당성을 검토하고 국새를 찍는 일이 기본 업무다. 주로 공무원 임명장을 관리하는 인사혁신처, 훈장증과 포장증을 관장하는 행안부 상훈담당관실에서 공문이 도착하고 대통령 명의의 비준서 등 외교문서도 국새를 기다린다. 국새 날인의 달인들이 국새실에서 문서 한가운데에 ‘대한민국’이라는 인문(印文)이 선명히 드러나게끔 국새를 찍는다.


 ●국새는 정부 수립 당시 만들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새는 2011년부터 사용하는 제5대 국새다. 대한민국 국새 변천사는 현대사의 영욕을 압축해서 보여 준다. 
 정부수립 이후 제1대 국새는 1949년 5월 5일부터 1962년 12월 31일까지 사용됐다. ‘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라고 한자로 쓴 유일한 국새다. 또 지금까지 제작한 국새 가운데 크기가 가장 작았다. 제1대 국새는 분실하는 바람에 지금은 어떤 모양이었는지도 모른다. 분실했다는 사실 자체도 2005년 언론보도를 통해 세상에 드러났다. 심지어 어떻게 해서 분실했는지조차 오리무중이다.


 제2대 국새는 1963년 1월 1일부터 1999년 1월 31일까지 36년간 썼다. 처음으로 한글을 새긴 국새이자 최장수 사용 기록을 갖고 있다. 제2대 국새는 한국의 고도성장기와 함께 했다. 거북이 모양을 한 손잡이로 고려·조선시대 전통 국새를 계승했다. 한글로 ‘대한민국’이라고 써 있지만 모양 자체는 한자체로 새겼다.


 제3대 국새는 1999년 2월 1일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했다. 두 번에 걸친 평화적 정권교체를 함께했다. 문화적 독창성과 국가 위상이 담긴 국새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반영해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로 새기고 손잡이도 쌍봉황 모양으로 변화를 줬다. 소재도 은에서 금 합금으로 바꿨다. 하지만 엑스레이 촬영 결과 손잡이와 인문 사이에 균열이 나타나 10년도 못 가 폐기됐다. 고도성장이 끝나가고 그 후유증이 나타나던 시대상과 닮아 있다.
 
 ●국새에 연루된 사기범이 있었다?
 국새 제작자의 사기 행각이 밝혀져 2년 9개월 만에 폐기된 제4대 국새는 정부로서는 감추고 싶은 부끄러운 기억으로 남아 있다. 


 제4대 국새는 단봉(봉황 한 마리) 형태의 손잡이가 특징이다. 제작자 민홍규는 전통 기법으로 국새를 만들어야 한다는 계약 조건을 어기고 수익을 많이 남기기 위해 현대적 방식으로 국새를 제작했다. 게다가 국새 재료를 빼돌리고 몰래 자신의 이름을 새기는 등 사기 행각이 드러나면서 국새를 폐기해야 했다. 뉴타운, 영어마을 유치 등으로 국민 모두가 부자 되기에 혈안이 돼 있던 2008년 22일부터 2010년 11월 29일 사이 우리가 겪은 일이다. ‘제4대 국새는 현재 어디에 있느냐’는 질문에 행안부 관계자는 “금을 녹여서 제5대 국새 만드는 데 썼다”고 귀띔했다.


 2011년 10월부터 사용 중인 제5대 국새는 균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쌍봉황 모양의 손잡이와 인문이 분리되지 않은 일체형으로 만들었다. 3.38㎏으로 역대 최대 무게를 자랑한다. 크기 역시 가로 세로 10.4㎝로 전보다 0.5㎝ 커졌다. 선진국으로 도약한 오늘날 우리나라의 국제적인 위상을 반영해 기존보다 더 무겁고 크게 제작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호랑이가 포효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국새는 나라를 대표하는 중요 문서에 사용하는 도장인 동시에 국가 권력의 정통성을 상징한다. 여러 차례 자문을 거친 끝에 봉황 두 마리가 무궁화 한 송이를 등에 얹은 모양으로 결정했다. 글씨체 역시 훈민정음체로 ‘대한민국’이라고 새겼다. 국새의 재질은 금, 은, 구리, 아연합금인데 특히 희귀 금속인 이리듐을 사용해 더욱 튼튼하게 만들었다. 

국새는 무게가 3.38㎏이나 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들기에는 상당히 무거운 느낌이다. 처음부터 봉황 두 마리였던 것도 아니다. 제2대 국새는 전통에 따라 거북이 모양을 썼다. 제4대 국새는 봉황 한 마리였고, 제3대 국새와 현재 국새는 봉황 두 마리다. 무궁화는 제5대 국새부터 들어갔다.
 
 ●서예학과 출신 주무관 손바닥엔 굳은살
 국새 사용 요건은 외교문서, 훈·포장, 공무원 임명장 등 법규에 정해져 있다. 전통 한지에 붓글씨로 직접 내용을 쓴 뒤 국새와 직인을 찍는다. 글씨를 쓰고 국새를 찍는 일을 하는 서예학과 출신 곽상혁 행안부 상훈담당관실 주무관은 매일 많게는 몇백장에 이르는 각종 임명장과 훈·포장을 쓰고 국새를 찍느라 손바닥에 굳은살이 박였다. 국새 자체가 무거운 데다 혹시라도 떨어뜨릴까 집중해야 한다. 국새를 문서 한가운데 정확하게 내려놓은 뒤 골고루 찍히도록 온몸에 힘을 줘 눌러야 한다. 


 국새에도 ‘생활의 달인’이 있다. 1년에 1만 2000장가량 되는 임명장, 훈·포장, 중요 외교문서에 국새를 찍다 보니 터득한 달인만의 비법이 있기에 가능하다. 3.38㎏이나 되는 국새를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온 신경을 집중해 꽉 붙잡고 국새를 찍다 보니 국새 윗부분 무궁화 꽃잎 문양에 손바닥이 박여 생긴 굳은살은 이들에게 영광의 상처이자 노동의 증거나 다름없다.


 국새 찍기 달인들인 곽상혁 행정안전부 상훈담당관실 주무관과 김동훈 인사혁신처 심사임용과 주무관은 모두 서예를 전공했다. 지금도 임명장과 훈·포장은 이들이 손으로 직접 쓴 뒤 국새와 직인을 찍는다. 자연스레 서예 달인들이 국새 달인이 되는 셈이다. 김 주무관은 “처음 6개월은 국새를 잡은 손에 땀이 나서 미끄러지기 일쑤였지만 굳은살이 박인 후부터는 더 잘 찍게 됐다”며 웃었다. 6년간 국새를 잡아온 곽 주무관도 “손바닥에 물집이 잡힌 채로 1시간에 150장 넘게 훈포장에 국새 찍는 일을 한 적도 있다”면서 “물집 속에서 피가 나는 것도 참고 일하다 보면 굳은살이 생기더라”고 덧붙였다.


 국새 직인은 임명장·훈포장의 화룡점정이다. 김 주문관은 국새 잘 찍는 법을 묻자 덤덤하게 “팔 힘으로 국새를 들고 수평으로 찍기 위해서 정신을 집중한다”고 설명했다. 인사이동이 몰리는 연말·연초는 야근의 연속이다. 김 주무관은 “대통령이 개각을 언급할 때마다 몇 달치 야근을 해야 하나 하는 생각부터 난다”고 말했다.


 김 주무관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제작한 국새 가운데 3대부터 5대까지 세 종류를 모두 사용해 본 특이한 이력도 갖고 있다. 2008년 공무원이 된 뒤 4대 국새를 사용했지만 2010년 8월 4대 국새가 추문에 휘말리면서, 수장고에 들어 있던 3대 국새를 다시 꺼내 썼기 때문이다. 그는 “3대 국새는 거북이 모양이라 잘 미끄러졌다. 5대 국새는 모양이 복잡해서 손바닥이 아프다”면서 “사실 손에 잡기에는 4대 국새가 가장 좋았다”고 귀띔했다.


 전통적으로 서예와 전각은 매우 가까운 분야다. 대학에서 서예를 전공한 두 사람에게 국새는 더 특별할 수밖에 없다. 곽 주무관은 “쉽게 인쇄하지 않고 굳이 직접 작성하는 이유를 묻는 사람들도 있지만 서예와 도장 문화는 한국의 고유문화로 전승해야 할 전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관례에 따라 임기가 끝날 때 대통령이 수여하는 훈장을 받는 주한 대사들이 붓글씨 위에 국새가 찍힌 걸 귀국 기념품이라며 좋아한다”고 귀띔했다.

 

관련 기사

하루 몇백장… 국새 찍는 전문가 있다
‘국가권력 정통성의 상징’ 국새…붉은 빛깔 66년 현대사
‘국새 찍기 달인’ 손에 박인 굳은살 ‘영광의 상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