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북한인권 국제심포지엄 개최 | |
북한인권 관련 국내외 전문가 14명 발표·토론 | |
2004/12/2 | |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 | |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1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에서 북한인권을 둘러싼 국제 동향을 살펴보고 북한인권 개선에 관한 다양한 방안을 수렴한다는 취지로 ‘북한인권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에는 미국, 중국, 일본, 영국 등에서 정부․민간 관계자들이 참석해 북한인권을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했다.
사진 : 이정민 기자 jmlee@ngotimes.net 요시다 야스히코 일본 오사카대학경제법학부 교수는 일본의 시각에서 북한인권의 세 측면을 △북한 난민문제 △일본인 납치문제 △재일조선인 차별로 분류했다. 요시다 교수는 “북한 난민을 위한 난민촌 설치는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근본적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난은 대량탈출의 주요원인”이라며 “모든 탈북자가 진짜 난민에 해당하는지 의문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일본인 납치 문제는 심각한 인권침해사례로서 북한정권이 성실하게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면서도 “일본정부가 과거 수십만명의 조선인을 납치했던 일도 되새겨야 한다”고 역설했다.
카린 리 Friends Committee for National Legislation 선입집행위원은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미국의 여론과 반응’이라는 발표에서 북한인권이 미국에서 관심사항이 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미국시민들은 미국을 인권의 상징으로 인식하며 다른 사회가 미국과 같은 자유와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며 “인권에 대한 이런 좋은 감정 속에는 미국인권사에 팽배한 이중잣대가 숨어 있다”고 꼬집었다.
리 위원은 “지난 2002년 1월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기 전까지 북한인권문제는 미국의 일반적 관심사가 아니었다”며 “부시 연설 이후 2002년 10월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2003년 북한자유연합(NKFC) 등이 결성됐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은 주로 북한이 가입한 협약을 지키도록 촉구하는 방식으로 권고한다”며 “대화 틀은 미국에서 논쟁을 일으켰던 정권교체와는 전혀 다른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4월부터 ‘북한인권연구팀’을 구성하고 다양한 연구사업을 전개해 온 국가인권위는 이번 심포지엄이 북한인권에 관한 국제동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한국의 역할을 모색하는 데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 |
2004년 12월 2일 오전 5시 50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
탈북자, 난민일까 이주민일까 (0) | 2007.03.20 |
---|---|
"북한이탈주민은 난민 아닌 이주민" (0) | 2007.03.20 |
뉴라이트는 "한국판 네오콘" (1) | 2007.03.18 |
뉴라이트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전문가 진단 (0) | 2007.03.18 |
뉴라이트 핵심인사 최홍재 “우리는 합리적 보수” (1) | 2007.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