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

겨울이 더 무서운 알레르기성 비염과 두드러기 대처법은

by betulo 2015. 1. 4.
728x90


 날씨가 건조해지는 겨울철, 항히스타민제가 말 그대로 생활필수품이나 다름없는 사람들이 있다. 알레르기성 두드러기와 비염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복용하는 항히스타민제에 대한 궁금증과 주의사항 등을 살펴본다. 


 여성 직장인 정현이(35·가명)씨는 하루에 한 알씩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다. 5년 전 회사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뒤로 생긴 알레르기성 만성 두드러기 증상 때문이다. 약을 먹지 않으면 온 몸이 가려우며 긁은 곳이 부풀어오르는 통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긁으면 시원해지는게 아니라 더 가렵고, 잠결에 피가 날 때까지 긁은 적도 있다. 스트레스를 받고 피곤한 날이면 더 심해지고 특히 겨울에 피부가 건조해지면 가려움증이 더 심하다. 그래서 꼭 잠들기 전에는 바디로션을 바르고 가습기를 틀고 잠을 잔다. 


 항히스타민제를 먹으면 금방 괜찮아지기는 하지만, 아이를 가진 뒤에도 항히스타민제를 계속 먹어도 되는 걸까 신경이 쓰였다. 병원에선 괜찮다고 하지만 몇몇 약사들은 항히스타민제가 태아에게 좋지 않다는 얘기를 하는 통에 불안하기만 하다. 한의원에서 고쳐보려 했지만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했다. 이 병원 저 병원을 다 돌아다녀봤지만 한 의사한테서 “나도 매일 땅콩 주워 먹듯 항히스타민제를 먹는다”는 말을 듣고 좌절감만 느껴야 했다. 정씨에게 알레르기성 만성 두드러기를 치료하지 못한 상태에서 아기가 생기면 과연 약을 먹지 않고 참을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는 게 큰 걱정이다. 


 또다른 여성 직장인 강소연(37·가명)씨 역시 20대 후반에 갑자기 알레르기 비염이 생긴 뒤부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게 됐다. 비염은 3월부터 5월까지 특히 심하고 환절기면 어김없이 비염이 찾아온다. 콧물과 재채기를 잠재우기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기 시작한지 벌써 10년을 바라본다. 예전에 없던 고양이 털 알레르기까지 생긴 덕분에 고양이가 있는 집에 가거나 할 때는 항히스타민제를 미리 먹지 않으면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는 “약이 있어 다행이긴 하지만 약을 먹고 나면 졸려서 일에 지장이 생긴다는 게 고민”이라고 말했다. 


 우리 몸에서 공기가 처음 들어오는 입구인 코는 얇은 점막으로 덮은 동굴에 비유할 수 있다. 공기가 콧구멍 안으로 들어오면 점막 표면을 얇게 덮고 있는 콧물과 코털이 공기 속 먼지와 세균을 걸러낸다. 그런데 뼈와 연골을 덮은 점막에 염증이 생기면 콧물이 많이 분비되고 코가 막히거나 재채기를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비염이다. 그 중에서도 알레르기비염은 호흡 증 콧속으로 흡입된 특정한 항원에 대해 콧속 점막에서 일련의 면역반응이 일어나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가장 흔한 증상은 코막힘이고 콧물과 재채기도 빠지지 않는다. 현재로선 완치가 아니라 조절과 관리가 전부다. 


 비염은 평소 치료만 잘 받으면 평소에 큰 불편 없이 지낼 수 있다. 알레르기비염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약제가 바로 항히스타민제다. 알레르기 반응에 중요한 히스타민의 작용을 미리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이건희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환자의 75% 정도가 25세 이전에 증상이 시작된다”면서 “부모 중 한쪽에 알레르기가 있을 때 자녀가 걸릴 확률은 50%, 부모 모두 알레르기가 있으면 75% 가량일 정도로 유전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말했다. 


 항히스타민제는 만성 두드러기 증상에도 사용한다. 두드러기란 가려우면서 피부가 융기된 홍반성 병변으로, 진피층 상부의 혈관확장 및 부종으로 인해 생긴다. 우리 몸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한다. 급성 두드러기는 대개 음식물이나 약물 때문에 발생한다. 대개 며칠에서 최대 6주 이내에 좋아진다. 매주 최소한 2회 그리고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두드러기라고 한다.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김태범 교수는 “특히 만성 두드러기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게 대부분”이라면서 “규칙적으로 경구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는게 치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강씨도 밝혔듯이 항히스타민제가 일으키는 가장 큰 부작용은 바로 졸림 현상이다. 이는 항히스타민제가 뇌혈관장벽을 통과해 뇌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고전적으로 사용하던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현상고 그 뒤 개발된 2세대, 3세대 항히스타민제에서는 확연히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2세대나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뇌혈관장벽 투과성이 1세대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세대,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작용시간이 길어 하루 1번 내지 2번 정도만 복용하면 하루 종일 효과를 볼 수 있다. 


 덜 졸린다고 하더라도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어지럼증이나 졸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운전이나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로 하는 위험한 작업을 할 때는 주의해야한다. 그 외에 입 마름이나 기립성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도중 다른 약물을 처방받을 때는 반드시 의사에게 항히스타민제 복용 사실 알려야 한다. 항히스타민제를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할 때는 다른 약물과 상충되면서 혈중 약물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씨처럼 가임기 여성들로선 항히스타민제가 영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가정의학과 김정환 교수는 “항히스타민제는 대부분 미국 식약청 등급 분류상 B나 C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B는 주의를 요하지만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약물이고 C는 사용 여부를 주의해서 결정해야 하는 약물이다. 김 교수는 “대개 임신 초기에는 주의를 요하지만 임신 중기 이후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서 “알레르기질환이 심해 약물 복용이 필요할 때는 의사와 상담해 B등급 약물을 처방 받는다면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