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오슬로 시내 전경
미국이 금융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그리스 아일랜드 등에서 시작된 재정위기가 유럽 전체를 들쑤시는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견실한 안정세를 유지하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4개국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과도한 재정긴축이나 복지지출 삭감 없이 건강한 재정상태와 낮은 실업률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당장 유럽연합 통계청이 내놓은 재정관련 지표만 봐도 북유럽 4개국은 ‘독야청정’이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다. 지난해 기준 유럽연합 평균 재정적자가 6.4%인 반면 덴마크는 2.7%, 핀란드는 2.5%, 스웨덴 0%를 기록했다. 심지어 노르웨이는 10.5% 흑자를 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도 유럽연합 평균 80%에 한참 못 미친다. 핀란드는 48.4%, 노르웨이 44.7%, 덴마크 43.6%, 스웨덴 39.8% 수준이다. 실업률도 노르웨이 3.3%, 덴마크 7.1%, 스웨덴 7.4%, 핀란드 7.9%로 유럽연합 평균 9.5%와 대조를 보였다.
북유럽 4개국이 남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건강한 재정상태를 유지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먼저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3개국은 1990년대 초반 금융규제완화와 자산거품으로 금융위기를 겪었고 덴마크도 비슷한 시기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강력한 예방주사를 맞았고 이후 1990년대 후반부턴 재정건전화를 달성했다.
특히 지금까지도 꾸준하게 조세부담률을 높게 유지한 것은 재정건전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가령 1985년과 2006년 스웨덴 국민부담률(세금에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 기여금까지 포함한 수입의 GDP 대비 비율)은 47.3%에서 49.1%로 증가했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행정은 국민들의 신뢰를 이끌어내 조세저항 등 갈등요소를 최소화했다.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에 따르면 강력한 복지정책으로 빈곤층 자체를 억제함으로써 실업보험 등 재정적자 빌미를 사전에 차단한다. 1 이는 빈곤층 증가로 인한 세수감소를 경험한 여타 국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와 관련, 김창환 캔사스대 사회학과 교수는 복지지출 강화를 통한 소득재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그 방안에 대해서는 “최고소득세율을 높여야만 복지 국가가 된다는 건 잘못된 인식”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복지국가는 부자에게만 세금이 많은 것이 게 아니다. 모든 사람에게 세금을 많이 걷는다.”면서 “복지국가의 높은 세율은 상당 부분이 높은 간접세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2
신정완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는 전화인터뷰에서 "북유럽 4개국은 개인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등 간접세도 높은 반면 법인세는 낮은 편이다. 조세를 통한 소득재분배 효과만 놓고 보면 북유럽 4개국보다 오히려 미국이 더 철저하다."면서 "복지국가를 가르는 관건은 오히려 있는 예산을 얼마나 사회복지에 지출하느냐다. 북유럽4개국은 예산의 절발 가까이를 사회지출에 쓴다."고 말했다.
미국과 영국 등이 제조업 시대는 저물었다며 서비스업만 중시한 반면 북유럽 4개국은 강한 제조업 경쟁력을 꾸준히 유지했고, 이를 위해 연구개발과 교육 등 미래를 위한 지출을 확대했다. 이는 경상수지 흑자로 이어져 높은 재정수입을 가능하게 했다.
이와 관련, 신정완 교수는 “분배와 복지, 성장이 선순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조가 상당한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강한 사회복지정책을 유지하는 기반 위에서 산업 혁신을 이루는 모델이 임금을 억제하고 복지를 희생하는 모델보다도 더 지속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측면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르웨이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옥상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런던 워털루역에서 느낀 영국의 비극과 희극 (0) | 2011.09.15 |
---|---|
유로 단일통화 넘어 단일 재정정책 고민중 (0) | 2011.09.07 |
유럽에선 부자들이 나서서 부유세 신설 촉구, 한국은... (5) | 2011.08.30 |
영국의 미래를 갉아먹는 대학 등록금 3배 인상 (0) | 2011.08.22 |
청와대 “감세 철회는 없다”…내 이럴 줄 알았지 (4) | 201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