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미국의 행정학교과서에서 따온 것을 보충한 것이기도 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삭감당할 것을 알고 부풀린다.
2. 예기치 못한 이번만의 일이라고 주장한다.
3. 조직의 장이나 조직이 옛날 약속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4. 굉장한 반발이 우려된다고 주장한다.
5. 실제로 일선 담당자가 더 잘 안다고 주장한다.
6. 중요하다고 지지받는 사업을 삭감한다.
7. 새롭거나 문제있는 사업을 인기있는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신청한다.
8. 위기를 이용해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
9. 지금 예산을 늘리는 것이 나중에 절약하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10. 자체 수입으로 충당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1. 아주 적은 예산으로 새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12. 옛날과 같은 내용을 전혀 새로운 다른 사업으로 위장하여 요청한다.
13. 다 줄것 아니면 예산을 전혀 편성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한다.
14.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5. 예산액수 이상으로 추후 세입이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16. 예산 심의기관이 책임져야 한다고 위협한다.
17. 예산을 빨리 지출하고 추가로 예산을 신청한다.
18. 여러 부문에 분산시켜서 배정받는다.
서울시의회 공익 대신 사익만 (세계.080710) (0) | 2008.07.11 |
---|---|
[예산자료] 역대 정부 및 이명박 정부의 예산낭비 근절정책 평가 토론회 (0) | 2008.02.22 |
2007 나라살림 (0) | 2007.05.28 |
[민주노동당_070410]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성인지적 관점 결여 (0) | 2007.04.11 |
[경실련] 부실공사 부추기는 턴키제도 폐지하라 (070406) (0) | 2007.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