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사회연결망분석

문화연대는 중심성 순위 급상승

by betulo 2007. 3. 30.
728x90
문화연대는 중심성 순위 급상승
[연결망분석] 단체별 중심성 분석
2006/5/29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중심성 순위 급상승, 문화연대

문화연대의 중심성은 ‘급격히’ 높아졌다. 2001년 조사에서 연결·매개·지위 중심성 모든 분야에서 10위권 밖이었던 문화연대는 이번 조사에서는 연결중심성과 지위중심성에서 2위(강한연계), 중간연계에서는 1위, 1위, 4위를 기록했다.

은수미 박사는 “시민운동조직들의 연계활동 성격이 노동, 양극화, 정치문제 뿐 아니라 문화쪽으로 이동한 경향이 있고 문화연대의 운동양식이 2000년대 초 참여연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주도권이 참여연대에서 문화연대로 이동했다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시민운동의 위기 속에서 뒤늦게 시작한 조직은 아직 그 힘이 소진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금종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문화운동이 사회문제 전반에 적극적으로 확장한 것이 중요한 이유이며 운동흐름이 문화로 이동한 것은 전체 이유중 20-30%에 불과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문화 자체가 쟁점이었던 것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며 “운동흐름 자체가 문화로 이동했다면 문화연대를 제외한 다른 문화단체들이 중심성에서 눈에 띄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다.

노동계는 잊혀진 여인?

심재봉 화백

이번 분석결과는 시민운동에서 노동계가 차지하는 중심성이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민주노총은 강한연계에서 연결중심성 4위, 매개중심성 10위 이하, 지위중심성 4위로 나타났다. 중간연계에서는 연결중심성 10위, 매개중심성·지위중심성 10위 이하였다. 2001년에 연결중심성 10위, 매개중심성 2위, 지위중심성 1위였던 것에 비해 확연한 하락세다.

이같은 결과는 노동조직 모두에게 해당되는 결과이다. 한국노총만 빼놓고. 2001년에 강한연계 연결·매개·지위 중심성에서 모두 10위 밖이었던 한국노총은 2005년에는 각각 7위, 9위, 10위 이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노총 중앙 차원에서는 시민단체와 연계를 강화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시민2조직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시민운동이 중도 혹은 중도 우 쪽으로 변화하는 것도 시민-노동 연계 약화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양극화와 비정규직 문제가 매우 두드러졌지만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을 제외하면 중심성이 높은 단체가 거의 없는 것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다.

입소문과 흥행의 시차 확인, 함께하는시민행동

시민행동은 연결중심성이 0.559로 평균(0.36)보다는 높지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회원단체들을 대상으로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 (1월 9일자, 631호 참조)

이는 2005년 말 조사가 연대회의 내부조사였고 따라서 연대회의 내부에서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반드시 전체 연결망에서 높은 중심성을 보여주지는 않는다는 것과 연관이 있다. 당시 조사가 설문 방식이었다는 것도 다른 결과로 나타난다. ‘입소문’을 타는 단체가 실제 중심성에 반영되기까지는 시차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과도한 예우 받은 전농과 민중연대, 전국연합

전농의 순위가 높은 것도 2005년 연결망에서 특징적이다. 전농은 강한연계에서는 연결중심성과 지위중심성에서 1위로 나타났고 매개중심성에서는 10위였다. 하지만 이는 평택, WTO, 아펙 등 2005년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는 예외적인 현상으로 해석해야 한다. 강한연계에 비해 중간연계에서 전농의 중심성이 낮아지는 것은 이런 측면을 반영한다.

전국민중연대와 전국연합의 지위중심성이 높은 것도 조직자체는 유명무실한 현실과는 달리 여전히 일종의 예우 차원에서 높은 대접을 받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6년 5월 29일 오전 9시 3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시민의신문 제 651호 7면에 게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