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은 한국사회 최대 인권현안” | |||||
[인권학교 4강] 사회권의 이해와 한국에서의 쟁점 | |||||
도재형 강원대 교수 | |||||
2005/5/5 | |||||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
“사립학교에서 근무한지 4년 됐지만 지금도 발령을 못 받았다. 재단은 12월에서 3월까지 계약하고 3월에서 12월까지 다시 계약하는 편법을 쓴다. 돈 적게 받아도 좋다. 눈치 좀 안보고 일하고 싶다. 너무 힘들고 지친다. 이런 강의 들었다는 걸 학교에서 알면 무슨 일을 당할지 모른다. 전교조 교사 근처만 가도 싫어한다. 수업시간에도 말을 제대로 못하고 자기 검열을 해야 한다. 인권학교 담당자가 내 미니홈피 방명록에 글 올린 것도 불안해서 삭제했다. 비정규직은 그 자체가 고통이다.”
도재형 강원대 교수가 사회권 강의를 끝내고 나서 한 인권학교 참가자가 털어놓은 비정규직의 현실이다. 한국에서는 절반 이상의 노동자가 절반 가량의 임금을 받는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비정규직 노동자는 8백16만명으로 임금노동자의 55.9%에 이른다. 비정규직의 근속년수는 평균 1.8년이고 월평균임금은 정규직의 51% 정도밖에 안된다. 도 교수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기간제 노동에 대해 “악성 차별적 비정규 고용형태”라며 “비정규직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인권문제”라고 주장했다. 도 교수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비정규직법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서 “정부는 시장경제질서가 민주주의 토대 위에서만 건강하게 운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꼬집었다. “우리는 민주주의를 선택한 것이지 자본주의를 선택한 것이 아니다”는 것이다. 사회권이란 ‘국민이 생존을 요구하거나 생활을 향상시켜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 위해 국가에 대해 적극적인 배려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도 교수는 “민주정부가 정통성을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바로 시민 참여라는 점에서 민주주의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건강한 시민”이라고 전제한 뒤 “비정규직은 현실적으로 시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존재”라고 강조했다.
도 교수는 “지금 한국 사회는 자유권보다 사회권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런 면에서 그는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 자유권만 중시하고 사회권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민변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민변은 국보법철폐를 위해서는 단식농성도 마다하지 않지만 비정규직 문제나 노동문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며 “민변 노동위원회에서 활동할 당시 민변을 탈퇴해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을 정도”라고 말했다. 도 교수는 ‘보이지 않는 손’을 신봉하는 학자·경영자·정부를 위해 애덤 스미스가 쓴 <국부론>에 나오는 한 구절을 들려줬다. “자본가들이 의회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는 것에 신경쓸 필요가 없다. 그들은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말하지만 속으로는 자기 이익만 생각한다.” 도 교수는 이렇게 덧붙였다. “자본가들은 등불을 많이 팔기 위해 낮에 창문으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자는 법안을 제출한 적도 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사진제공=인권실천시민연대(www.hrights.or.kr) | |||||
| |||||
2005년 5월 5일 오후 12시 10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
“인권교육은 인권운동 토대이자 과제" (2005..5.25) (0) | 2007.03.24 |
---|---|
“인권과 시장은 양립할 수 없다” (2005.5.11) (0) | 2007.03.24 |
“인권은 알라딘램프 ‘지니’ 아니다” (2005.4.27) (0) | 2007.03.22 |
"기자들부터 인권감수성 가져야" (2005.4.18) (0) | 2007.03.21 |
"세계인권선언 새로 읽어보자" (0) | 200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