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주간 9개국 주유기(3-2)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
이집트 상황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2007/03/24 - 인권단체들, 이집트 독재정권 규탄 (2005.6.9)
2011/02/06 - 이집트 민주항쟁과 미국의 이중생활
2011/02/06 - 이집트 시민항쟁, 미국은 우왕좌왕?
2011/02/08 - '무바라크 이후' 이집트 정치 '총감독' 군부
2011/04/11 - 이집트 과거사청산 본격 시동...독재정권 실세 4명 철창행
2011/05/31 - 전문가들에게 듣는 '중동은 어디로 가는가'
2011/06/01 - [중동취재기] 타흐리르 광장은 여전히 중동의 해방구
2011/06/02 - [중동취재기] 이집트에서 느끼는 한류
2011/06/13 - [중동취재기] 이집트 기독교인이 말하는 '종교간 관용'
타흐리르 광장 근처에 있는 무바라크 당시 집권당 당사 건물. 민주화시위 때 불에 탄 뒤 5월까지도 그대로였다.
타흐리르 광장. 불법주차된 차들이 늘어서 있는게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민주항쟁 이전까진 상상도 못할 풍경이라고 한다.
경찰들이 불법주차 단속하러 나왔다. 하지만 시민들에 둘러싸여 한참을 실랑이하다가 지원을 요청하고 나서야 겨우 체면치레를 할 수 있었다. 독재정권의 앞잡이는 신뢰와 권위를 잃어버렸다.
광장 주변에선 시위가 처음 시작된 날인 1월25일을 기리는 티셔츠와 이집트 국기가 날개돗친 듯 팔려나간다.
집회할때 보면 이런 친구들 꼭 있다.
아랍어로 25란 숫자를 팔에 새겼다. 처음엔 붓으로 그려주길래 일종의 출입허가표식인줄 알았는데 다 그린 다음에 돈 달란다. 알고보니 시위대와 아무 상관없는 잡상인이었다... 헐...
시위 현장에는 가족참여자가 눈에 많이 띄었다. 피켓이나 국기를 든 어린이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손주 손을 잡고 온 할아버지, 자식 손을 잡고 온 여인네들. 말 그대로 한바탕 잔치였다.
금강산도 식후경. 집회장에 노점상이 빠질수야 없지.
이슬람 기도회때 여성들은 보통 여자들끼리 따로 자리를 잡고 앉는다. 엉덩이를 드는 기도방식상 여성들을 배려하기 위한 측면이 강한 것도 한 이유다. 날씨가 더운지 피켓을 머리에 이고 있는 모습이 재미있다.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슬람 여성 히잡은 그 자체로 패션상품이다. 아래 사진에서 젊은 여성들 히잡은 사실 스카프나 다름없다. 온갖 색깔로 화려한데다 선글라스까지. 상당한 멋쟁이 처자들이다.
민주화시위는 이집트인들에게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자긍심을 되찾게 해주었다. 자신들의 힘으로 독재를 몰아냈다는 승리 기억은 우린 할수있다는 자신감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