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2004.9.12)
| 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 
| 시민단체지원금 논란은 수구세력 공세…친노성향 우려 | 
| 전국시민사회 210명 설문 | 
| 2004/9/12 | 
|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 
|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이 제기한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대다수가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론보도가 앞으로 시민운동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활동가도 절반 이상이었다. 또 시민운동가 대다수는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고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이 앞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시민의신문>이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2백1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시민단체가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고 답한 사람이 59.6%(125명)였으며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33.4%(73명)로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이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설문에 응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 일부언론 보도가 시민운동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44.3%(93명)가 “조금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으며 “크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사람도 8.1%(17명)를 차지했다. 반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사람은 34.3%(72명)였다. 
 
 
 그러면서도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에 대해서는 59%(124명)가 “견제와 협조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11.4%(24명)는 가까운 편이라고 답했으며 비판적 관계라는 응답은 19%(40명)였다.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설정 방향에 대해서는 73.8%(155명)가 “비판적 협력관계”로 가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협조관계로 가야한다는 응답은 6.2%(13명)였으며 견제관계라고 답한 사람은 17.6%(37명)를 차지했다. 
 
 
 한편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이 언론탄압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는 3.3%(7명), “그렇다”는 15.7%(33명)인 반면 “아니다”는 27.1%(57명), “전혀 아니다”는 44.8%(94명)에 달했다.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을 언론탄압으로 생각하지 않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는 71.9%에 이르렀다. 
 이번 설문은 서울․경기 71명(33.8%), 영남 42명(20%), 호남 40명(19%), 충청 31명(14.8%), 강원 19명(9%), 제주 7명(3.3%)을 대상으로 했다. 연령별로는 20대 53명(25.2%), 30대 1백4명(49.5%), 40대 41명(19.5%), 50대 이상 12명(5.7%)였으며 응답자 가운데 남성은 1백3명(49%), 여성은 1백7명(51%)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 
| 2004년 9월 12일 오전 7시 47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 
 ‘최근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56.7%인 1백19명이 ‘언론개혁과 과거사청산 등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라고 답했다. ‘친정부 성향 시민단체에 대한 문제제기’는 11%(23명), ‘정부의 시민단체 관변화 시도에 대한 지적’은 16.2%(34명)에 그쳤다. 10.5%(22명)는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최근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56.7%인 1백19명이 ‘언론개혁과 과거사청산 등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라고 답했다. ‘친정부 성향 시민단체에 대한 문제제기’는 11%(23명), ‘정부의 시민단체 관변화 시도에 대한 지적’은 16.2%(34명)에 그쳤다. 10.5%(22명)는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흥미로운 점은 시민운동내 친정부(친노)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는 점이다. 친정부 성향 시민운동을 우려하는 일부 목소리에 대한 견해를 묻자 “크게 우려” 9.5%(20명), “조금 우려” 42.9%(90명)로 나타나 우려한다는 답변이 52.4%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 “근거없는 것으로 무시한다”는 응답은 36.7%(77명)이었다. 이는 “일부 시민운동이 친정부 성향을 갖고 있다”는 시민사회 일각의 문제제기에 대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시민운동내 친정부(친노)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는 점이다. 친정부 성향 시민운동을 우려하는 일부 목소리에 대한 견해를 묻자 “크게 우려” 9.5%(20명), “조금 우려” 42.9%(90명)로 나타나 우려한다는 답변이 52.4%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 “근거없는 것으로 무시한다”는 응답은 36.7%(77명)이었다. 이는 “일부 시민운동이 친정부 성향을 갖고 있다”는 시민사회 일각의 문제제기에 대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는 63.8%(134명)가 확대를 바랐다. 대폭확대라고 답한 16.2%(34명)까지 더하면 응답자의 80%가 거버넌스․민관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현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대답은 10.5%(22명),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은 3.8%(8명)에 불과했다.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는 63.8%(134명)가 확대를 바랐다. 대폭확대라고 답한 16.2%(34명)까지 더하면 응답자의 80%가 거버넌스․민관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현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대답은 10.5%(22명),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은 3.8%(8명)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