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2004.9.12)
시민운동가 80%, “민관협력 확대돼야” |
시민단체지원금 논란은 수구세력 공세…친노성향 우려 |
전국시민사회 210명 설문 |
2004/9/12 |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 |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이 제기한 시민단체 정부지원금 논란에 대해 대다수가 사회개혁에 반발하는 수구세력의 공세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론보도가 앞으로 시민운동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활동가도 절반 이상이었다. 또 시민운동가 대다수는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고 지원금 여부를 떠나 시민단체와 정부간 거버넌스(공치)나 민관협력이 앞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시민의신문>이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2백1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시민단체가 정부 지원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고 답한 사람이 59.6%(125명)였으며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33.4%(73명)로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이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설문에 응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은 조선일보 등 일부언론 보도가 시민운동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44.3%(93명)가 “조금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으며 “크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사람도 8.1%(17명)를 차지했다. 반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사람은 34.3%(72명)였다.
그러면서도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에 대해서는 59%(124명)가 “견제와 협조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11.4%(24명)는 가까운 편이라고 답했으며 비판적 관계라는 응답은 19%(40명)였다.
시민단체와 정부 관계설정 방향에 대해서는 73.8%(155명)가 “비판적 협력관계”로 가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협조관계로 가야한다는 응답은 6.2%(13명)였으며 견제관계라고 답한 사람은 17.6%(37명)를 차지했다.
한편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이 언론탄압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는 3.3%(7명), “그렇다”는 15.7%(33명)인 반면 “아니다”는 27.1%(57명), “전혀 아니다”는 44.8%(94명)에 달했다. 언론사 사주소유지분제한을 언론탄압으로 생각하지 않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는 71.9%에 이르렀다.
이번 설문은 서울․경기 71명(33.8%), 영남 42명(20%), 호남 40명(19%), 충청 31명(14.8%), 강원 19명(9%), 제주 7명(3.3%)을 대상으로 했다. 연령별로는 20대 53명(25.2%), 30대 1백4명(49.5%), 40대 41명(19.5%), 50대 이상 12명(5.7%)였으며 응답자 가운데 남성은 1백3명(49%), 여성은 1백7명(51%)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2004년 9월 12일 오전 7시 47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