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뒷얘기/시민의신문 기사

"사이버시민운동, 미래 "주류운동" 부상"

by betulo 2007. 3. 11.
728x90
"사이버시민운동, 미래 "주류운동" 부상"
창의적 사이트 구축 관건
2003/9/26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안준관 간사(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센터)는 "사이버시민운동은 운동의 주류가 될 수밖에 없다"고 단언한다. "촛불시위나 노사모 등에서 보듯 인터넷이 시민과의 쌍방향성을 담보할 가장 힘있는 운동수단이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이버운동을 담당하는 시민운동가들의 표정은 그리 밝지 않다.


인력과 투자비 부족은 규모와 상관없이 시민단체의 공통된 고민이다. 정보통신간사를 두고 있는 곳은 그래도 사정이 나은 편이다. 인터넷 사업에 투자할 돈이 없는 군소규모의 시민단체는 시민운동가가 홈페이지 제작과 관리를 겸할 수밖에 없다. 업무는 과중해지고 네티즌을 끌만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쉽지 않다. 3백개가 넘는 단체가 가입해 있는 어느 연대단체조차 "소속단체 링크 업데이트도 제대로 안되고 자유게시판은 스팸메일이 점령한지 오래"라고 하소연하는 실정이다.


서버·보안시설 취약도 골칫거리다. 실제 환경운동연합은 올해만 해킹을 4번 당했고 복구하는데도 수백만원이 들었다. 문제는 값비싼 보안솔루션을 살 엄두를 못 낸다는 것이다.


산적한 현실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이버운동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시민운동가는 없다. 문제는 "부족한 자원과 인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가"이다. 이인경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국장은 "자원을 공유하는 방안은 없을지 적극적으로 고민해보자"고 제안한다. 단체들이 연대해 자료실이나 서버를 공유하거나 공동네트워크 관리자를 두는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 간사는 시민사회단체 홈페이지가 추구해야 할 목표로 무엇보다도 "접속률 높이기"를 든다. "방문자가 많아야 시민들과 쌍방향성이 높아지고 회원가입률도 높다"는 것이다. 또 "컨텐츠에 대한 네트즌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다양한 시도를 꾀할 것"을 주문했다.


"실정에 맞는 창의적인 사이트를 구축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한 환경운동단체는 삼보일배만 다루는 사이트를 개설하고 인터넷기자까지 채용했다. 사건이 생길 때마다 최대한 신속하게 기사를 올렸고 사진과 동영상을 제공했다. 하루 두세시간만 자면서 노력한 결과는 곧 나타났다. 처음에는 20-30명에 불과했던 하루 조회수가 나중에는 1천명을 돌파한 것이다. 온라인모금액도 8백50만원에 달했다.


광주 참여자치21은 인터넷(www.db21.or.kr)을 통해 네티즌들이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각종 정보와 정치활동 내용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정치인들에 대한 일상적인 검증체제를 구축하고 유권자들에게 판단기준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장기적으로는 호남지역 정치인 자료실을 만들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처음엔 시큰둥했던 지역 국회의원들도 이제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갖는다. 문숙영 간사는 "네티즌들이 지역 정치인들을 검증하고 평가하도록 해 지역 정치개혁의 열기로 모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홈페이지 투자는 운동의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강조한 김지희(진보네트워크센터)씨는 "단체간 연대와 정보통신 분야를 공동으로 운영할 영역을 고민할 단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간접자본의 성격을 온라인공간에도 적용하여 공공적 영역을 산정하고 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국진 기자
sechenkhan@ngotimes.net

2003년 9월 26일 오전 0시 53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댓글